[주제]
PM 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아티클 요약]
관리라는 역할
관리는 역할입니다. 선생님이나 경찰처럼요. 누가 당신에게 그 역할을 맡길 수도, 그만두게 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리더십은 고유한 특질이에요.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자질입니다.
Management is a job. It’s a role. It’s like being a teacher, or a police officer, or a heart surgeon. There are various responsibilities that come with that role. It can be given to you, and it can be taken away, whereas leadership is a quality that you have to earn.
외부에서 주어지는 역할로서의 '관리', 개인의 자질로서 '리더십'을 구분해 생각해 봤습니다.
리더십은 연차나 맡은 역할에 상관없이 발휘할 수 있는 개인의 자질입니다.
신입이라고 해도 주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동기를 부여하고, 비전이 있다면 리더십이라는 특질을 가진 것입니다.
리더십에 대한 고민은 어떤 연차든 충분히 가치 있고 좋은 매니저가 되기 위해서도 당연히 길러야 할 자질입니다
PM의 역할
1. 논의를 시작하기(Open discussion)
논의를 잘 시작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머릿속에 '어떤 이야기를' '무엇을 위해서(뭘 결정하기 위해서)' '누구랑' '언제' '얼마나 오래'할 것인지 대략적인 그림을 그려놓고 시작해야 합니다.
얘기를 해야겠다 싶은 걸 간단하게 써놓고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2. 클라이언트와 직접 소통하기
어떤 주기로 얼마나 디테일하게 공유할 것인가?
초반에 얘기하면 좋습니다.
보고, 청중과 우선순위를 고려하기
보고 문서를 만들 때 가장 고민되었던 포인트는 누굴 대상으로 하고 어떤 내용을 우선순위로 전달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누가 주요 의사결정권자인지 미리 파악하면 문서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때 도움이 되었던 것은 내부 팀원들과 함께 보고 자리에 오시는 분들이 각자 어떤 궁금증/목표를 갖고 있을지를 포스트잇에 붙여보는 것이었습니다.
머릿속에 두루뭉술하게 생각하는 것과 그걸 끄집어내서 한번 정리하고 나니 보고 문서 흐름을 정하는 데에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오픈된 질문보다 선택지 + 장/단점을 주고 선택하실 수 있도록
반대하기보다 선택에 따른 리스크 설명하기
3. 업무 배분하기
일을 분배하는 게 더 어렵다
내용 만들 때랑 역순으로 생각하기
선후행 도형법
혼자서 결정할 필요는 없다
관심사/스킬에 맞추어 업무 배분
4. 비용/리스크 관리하기
프로젝트를 하다가 클라이언트 사 내부 사정 때문에 일정이 뒤로 밀리거나, 내부 의사결정이 늦어지는 경우, 또는 보고 했을 때 추가 요청이 있어서, 내부에서 요구사항이 변경되어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등의 리스크를 미리 생각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여기서 제가 몰랐던 점은 영업 단계에서 정한 최종 산출물의 형태나 범위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게 되면서 조금씩 일정, 투입인력, 필요한 외주업체 등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M/M이란?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월 인원. 주로 프로젝트 크기를 나타내는데 쓰임. 1M/M이라고 하면 1명이 한 달간 끝낼 수 있고, 2명이면 보름에 끝내는 업무. 5M/M이면 1명을 투입하면 5달 걸리고, 5명을 투입하면 1달 걸린다는 뜻. 작업 시간과 관련된 것으로 프로젝트 기간을 나타내는 말이 아님.
[인사이트]
뭐든 결정하고 진행하는 입장에서 리더가 될때 고려해야할 부분은 많다。비용이나 시간、 방향성 등 고려하기 위해서는 결단력있게 행동하는 것이 좋으며 그럴때마다 혼자 결정할 필요없이 옆사람의 의견을 듣는것은 필수 적임을 다시한 번 느꼈다 。
'부트캠프 [사전캠프] ~준비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캠프 PM직무 사전캠프 3월 27일 TIL [문제정의와 PRD 작성해보기] (0) | 2025.03.27 |
---|---|
3월 26일차 아티클 요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0) | 2025.03.26 |
3월 25일차 아티클 요약 [새로운 기능을 만들기 위한 최악의 설득근거] (0) | 2025.03.26 |
엑셀보다 쉽고 빠른 SQL - 1주차 (학습1일)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