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 직무스터디 1일차 시작. 도메인 정해서 PM 직무 파악하기.
1일차. 팀활동을 처음하게 되는 날이라 1일차로 적게되었다.
다음에 관한 내용을 같이 스터디하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정하게 되었다 .
먼저 팀장을 뽑고 각자 어떤 도메인을 하고싶은지 말하였다.
김요셉 : 헬스 케어, 콘텐츠, 모빌리티
유영탁 : 헬스 케어, 생산성 툴, 커뮤니티, 콘텐츠
김나연 : 게임 업계 전반
이예랑 : 헬스 케어, SNS, 에듀
박지윤 : 커뮤니티, 핀테크, 이커머스
→ 모빌리티로 주제 선정!!
우리는 모빌리티라는 도메인을 선택하게 되었다.
다음은 내가 조사한 모빌리티 PM 직군에 대한 내용이다.
모빌리티 : 이름 그대로 이동(mobility)을 지원하는 모든 서비스를 뜻한다. 택시, 버스, 지하철 등 전통적인 대중교통은 물론 공유 전동 킥보드, 카 셰어링, 카 헤일링, 라이드 헤일링 등 최근 등장한 새로운 이동 수단 및 이동 형태를 포함한다.
카카오모빌리티, 티맵 공유전동킥보드 >> 빔짐 카셰어링 >> 소카 카케일링 >> 우버, 그랩
- 소카 >> https://socar.career.greetinghr.com/o/152260 >> 채용공고 : 부름/존편도서비스의 신규서비스/ 기능 도입을 위한 기획. 정책/ 요금전략수립 등 서비스의 방향성과 성장이끄는역할
알아야할 점 ==> 소카의 기능중 고객위치로 직접 반납하거나 반납장소의 제약없이 이용하는 서비스의 기능을 알고 있기. 이때의 문제점?
- 티맵 >> https://www.skcareers.com/Recruit/Detail/R241741 >> 채용공고: 통합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전반업무를 담당
알아야할 점 ==> 티맵 서비스 중 AI 기반 서비스에 대해 현서비스에 대해 알고 있어야함.
사용자기반 데이터분석을 하므로 문의사항등을 통해 서비스 요구사항을 도출해 나갈수 있도록 파악해야함. 디자인등 UX,UI 적으로 불편사항이 없는지 파악해야함.
- 카카오모빌리티 >> https://kakaomobility.career.greetinghr.com/o/145582 >> 채용공고 : 기존사용자의 불편요서를 찾아내어 개선하는 업무 담당.
알아야할 점==> 서비스에 대한 불편요소를 찾아내야함. 택시 및 자율주행에 대한 서비스를 알 고 있어야함.
해당내용을 기반으로 내가 어떻게 하면 좋을지 정리해 보았다.
🔍 1일차: “모빌리티 분야에서 PM은 무슨 일을 할까?”
🧭 내가 선택한 도메인: 모빌리티
💼 PM은 누구와 협업하나요?
- 서비스 기획자, 데이터 분석가, 디자이너(UX/UI), 개발자, CS팀, 마케팅팀과 긴밀히 협업
- 고객 피드백이나 불편사항을 기반으로 개선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조율하는 역할 수행
🔍 이 직무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문제는?
- 사용자 이동 경험의 편의성 확보
- 위치 기반 기술과 요금 정책의 정교함
- 서비스 접근성과 UI/UX 개선
- 공유/반납 구조의 비효율, 자율주행 시대의 대응방안 등
🚗 대표적인 제품/서비스 및 기업
1. 소카 (카셰어링)
- 대표 서비스: 부름/존편도서비스
- PM 역할: 신규 기능 기획, 요금 정책 설계, 고객 반납 위치 자유 서비스 기획 등
- 💡 주의할 점: 반납 위치 자유화 시 차량 분포 비효율 문제 발생 → 재배치 로직 필요
2. 티맵 (내비게이션 및 통합 모빌리티)
- 대표 서비스: AI 기반 교통 서비스
- PM 역할: 사용자 기반 데이터 분석 → 서비스 개선, UX/UI 문제 파악 및 개선
- 💡 주의할 점: AI 추천 경로 정확성, 사용자 불편사항 분석 필요
3.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자율주행 등)
- 대표 서비스: 카카오 T (택시, 대리, 바이크 등)
- PM 역할: 기존 사용자 불편 요소 개선, 택시 배차 시스템 및 자율주행 관련 기능 기획
- 💡 주의할 점: 기사-고객 간 배차 시스템, 자동화 기술 이해 필요
📌 내가 조사한 PM 직무의 핵심은?
모빌리티 PM은 사용자의 이동 전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위치 기반 기술과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서비스 효율을 높이는 문제 해결자다.
🔁 다른 도메인의 PM과 공통점/차이점은?
항목 공통점 차이점
협업 구조 | 다양한 직군과 협업 (개발, 디자인, 데이터 등) | - |
문제 해결 방식 | 고객 피드백 → 개선 기획 → 검증 | - |
도메인 특수성 | - | 실시간 위치 기반 이슈, 반납 구조 설계, 요금 정책 등 물리적 이동이 핵심 요소 |
기술 스택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필수 | IoT, 자율주행, GIS 등 특정 기술 요구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