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PM2기 _ 서비스기획입문주차3_기술블로그탐색
챕터 3-5 숙제 설명
📖
챕터 1에서 알려드린 기술블로그 중에서 위 수업 내용과 같이 문제정의~가설수립의 과정을 배울 수 있는 아티클을 선정해주세요.
그리고 해당 아티클을 아래와 같이 요약해서 정리해보세요.
- 문제발견
- 문제정의
- 가설수립
- 액션
- 검증결과
- 아티클에서 얻은 인사이트
챕터 1에서 알려준 기술블로그들은 다음 과 같이 많이 알려주었다 .이중에서 내가 하나씩 골라보며 기술블로그들이 말하고 있는 점 그 블로그들간의 문제정의나 해결방안을 어떻게 삼고있는 지 , 가설수립이나 검증결과를 어떻게 나타내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 기술 블로그
- ⭐ 토스 https://toss.tech/
- ⭐ 우아한형제들 https://techblog.woowahan.com/
- 당근마켓 https://medium.com/daangn
- 화해 https://blog.hwahae.co.kr/category/all/tech
- 강남언니 https://blog.gangnamunni.com/blog/tech/
- 카카오 https://tech.kakao.com/blog/
- 리디 https://ridicorp.com/story-category/tech-blog/
- 컬리 https://helloworld.kurly.com/
📢 개발 컨퍼런스
- ⭐ 카카오 https://www.youtube.com/@kakaotech/playlists
- ⭐우아한형제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gXGHBqgT2TundZ81MAVHPzeYOTeII69j
- 당근마켓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aHcMRg2hoBryC2cZkhyEin5MrnEJhMUl
- 네이버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sFtzQAC8dDcQAcSG4PNrW7-0ExDZqqJA
- 우아한형제들 (월간 세미나)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gXGHBqgT2TtGi82mCZWuhMu-nQy301ew
- 토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1DJtS1Hv1PiGXmgruP1_gM2TSvQiOsFL
- 데이터야놀자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7yPwpDiPFlJBI6LOmkgP3Hm5t7NTuTZF
- 모두의 연구소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v6H9ngYdJbJbdzsU7QfXdFMHuXa95Fvj
- 인프런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pkj8RKr48waFtrqvJjbNrpGCvdxyX8Nx
디자인 컨퍼런스
PM 컨퍼런스
참고
GitHub - hibuz/dev-conf-replay: 🍀 최근 국내 IT 세미나 및 개발자💻 컨퍼런스 영상의 다시 보기👀 링
🍀 최근 국내 IT 세미나 및 개발자💻 컨퍼런스 영상의 다시 보기👀 링크를 한곳에 정리했습니다! - hibuz/dev-conf-replay
github.com
다양한 아티클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눈에가는 몇가지 기술블로그들이 있다.
첫번째로 마켓컬리이다. 마켓컬리는
컬리는 기술과 데이터를 통해 유통을 혁신하며,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삶을 만들기 위해 존재합니다.
라는 가치로
우리는 더 나은 유통, 생산, 소비,
그리고 삶을 향한 우리의 꿈이 기술과 만나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새롭고 밀도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모두가 상생하는 건강한 유통 생태계를 만드는 이커머스의 표준이 되기 위한 꿈을 꾸고 있는 컬리,
그 꿈을 함께 이루어 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라는 취지로 채용을 계속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제가 발견한 점은 물류의 물짜도 모르던 OMS PM의 OMS 구축기 - 컬리 기술 블로그 라는 블로그입니다.
이 기술 블로그의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발견
- 문서화 부족: 시스템의 목적과 현재 상태를 명확히 정의한 문서가 거의 없었습니다.
- 시스템 연동 파악의 어려움: SOMS가 연동하고 있는 시스템들과의 데이터 흐름 및 주기를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 사용자 관점의 이해 부족: SOMS를 사용하는 내부 사용자들의 업무 목적과 사용 방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문제정의
- 운영자 의존성: 운영자들이 수동으로 주문을 조절하는 방식은 비효율적이며 오류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스템의 역할 불명확: SOMS의 기능과 목적이 명확하지 않아,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기 어렵습니다.
가설수립
- OMS의 역할 재정의: OMS는 단순한 주문 전송 시스템이 아니라, 주문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주문을 분배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한다.
-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향상: 주문 분배 계획의 자동화를 통해 운영자의 수동 개입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가설검증을 위한 액션
- 시스템 분석: SOMS와 연동된 시스템들(TMS, TAM, WMS 등)의 데이터 흐름과 주기를 파악했습니다.
- 사용자 인터뷰: SOMS를 사용하는 내부 사용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시스템 사용 목적과 업무 방식을 이해했습니다.
- Product Vision 수립: OMS의 새로운 역할과 목표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설정했습니다.
검증결과
- OMS의 역할 명확화: OMS는 주문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주문을 분배하는 시스템으로 재정의되었습니다.
- 자동화 구현: 주문 분배 계획의 자동화를 통해 운영자의 수동 개입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 시스템 통합: TAM과 OMS의 통합을 통해, 주문 마감 시간 조정과 같은 기능을 OMS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사이트
- 도메인 지식의 중요성: 시스템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 사용자 중심의 접근: 시스템 개선을 위해서는 실제 사용자의 업무 방식과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Product Vision의 역할: 명확한 Product Vision은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팀의 목표를 공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향상: 반복적이고 수동적인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