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 [내일배움캠프] TIL 모음

[내일배움캠프]PM2기 _ 서비스기획입문주차3_기술블로그탐색

pm0012 2025. 4. 17. 11:28

챕터 3-5 숙제 설명

📖

챕터 1에서 알려드린 기술블로그 중에서 위 수업 내용과 같이 문제정의~가설수립의 과정을 배울 수 있는 아티클을 선정해주세요.

그리고 해당 아티클을 아래와 같이 요약해서 정리해보세요.

  • 문제발견
  • 문제정의
  • 가설수립
  • 액션
  • 검증결과
  • 아티클에서 얻은 인사이트

챕터 1에서 알려준 기술블로그들은 다음 과 같이 많이 알려주었다 .이중에서 내가 하나씩 골라보며 기술블로그들이 말하고 있는 점 그 블로그들간의 문제정의나 해결방안을 어떻게 삼고있는 지 , 가설수립이나 검증결과를 어떻게 나타내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 기술 블로그

📢 개발 컨퍼런스

디자인 컨퍼런스

PM 컨퍼런스

참고

 

GitHub - hibuz/dev-conf-replay: 🍀 최근 국내 IT 세미나 및 개발자💻 컨퍼런스 영상의 다시 보기👀 링

🍀 최근 국내 IT 세미나 및 개발자💻 컨퍼런스 영상의 다시 보기👀 링크를 한곳에 정리했습니다! - hibuz/dev-conf-replay

github.com

 


다양한 아티클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눈에가는 몇가지 기술블로그들이 있다. 

 

첫번째로 마켓컬리이다. 마켓컬리는

 

컬리는 기술과 데이터를 통해 유통을 혁신하며,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삶을 만들기 위해 존재합니다. 

라는 가치로

우리는 더 나은 유통, 생산, 소비, 

그리고 삶을 향한 우리의 꿈이 기술과 만나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새롭고 밀도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모두가 상생하는 건강한 유통 생태계를 만드는 이커머스의 표준이 되기 위한 꿈을 꾸고 있는 컬리,

그 꿈을 함께 이루어 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라는 취지로 채용을 계속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제가 발견한 점은 물류의 물짜도 모르던 OMS PM의 OMS 구축기 - 컬리 기술 블로그 라는 블로그입니다. 

이 기술 블로그의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발견​

  • 문서화 부족: 시스템의 목적과 현재 상태를 명확히 정의한 문서가 거의 없었습니다.
  • 시스템 연동 파악의 어려움: SOMS가 연동하고 있는 시스템들과의 데이터 흐름 및 주기를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 사용자 관점의 이해 부족: SOMS를 사용하는 내부 사용자들의 업무 목적과 사용 방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문제정의

  • 운영자 의존성: 운영자들이 수동으로 주문을 조절하는 방식은 비효율적이며 오류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스템의 역할 불명확: SOMS의 기능과 목적이 명확하지 않아,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기 어렵습니다.

가설수립​

  • OMS의 역할 재정의: OMS는 단순한 주문 전송 시스템이 아니라, 주문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주문을 분배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한다.
  •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향상: 주문 분배 계획의 자동화를 통해 운영자의 수동 개입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가설검증을 위한 액션​

  1. 시스템 분석: SOMS와 연동된 시스템들(TMS, TAM, WMS 등)의 데이터 흐름과 주기를 파악했습니다.
  2. 사용자 인터뷰: SOMS를 사용하는 내부 사용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시스템 사용 목적과 업무 방식을 이해했습니다.
  3. Product Vision 수립: OMS의 새로운 역할과 목표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설정했습니다.

검증결과​

  • OMS의 역할 명확화: OMS는 주문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주문을 분배하는 시스템으로 재정의되었습니다.
  • 자동화 구현: 주문 분배 계획의 자동화를 통해 운영자의 수동 개입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 시스템 통합: TAM과 OMS의 통합을 통해, 주문 마감 시간 조정과 같은 기능을 OMS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사이트

  • 도메인 지식의 중요성: 시스템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 사용자 중심의 접근: 시스템 개선을 위해서는 실제 사용자의 업무 방식과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Product Vision의 역할: 명확한 Product Vision은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팀의 목표를 공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향상: 반복적이고 수동적인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